교육부가 원거리 대학생을 위한 주거안정장학금을 올해부터 처음 시행한다고 합니다.
저 또한 지방러이기에 원거리 대학생들의 고충을 대략이나마 짐작할 수 있는데요, 문득 20여년 전의 일들이 떠오르네요.
아무튼 이런 정책은 참 좋은 것 같고, 꼭 필요한 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주거안정장학금 요약 >
- 2월 4일(화) ~ 3월 18일(화)까지 한국장학재단 누리집·앱에서 신청
- 원거리 진학한 기초 ·차상위 대학생에게 주거안정장학금 월 최대 20만 원 지원
- 2025학년도 1학기 국가장학금 2차 신청도 함께 진행
교육부는 원거리 대학 진학으로 주거 관련 비용 부담이 큰 기초‧차상위 대학생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자 주거안정장학금
제도를 올해부터 새롭게 도입하였습니다. 주거안정장학금 지원을 위해서는 학생의 소속 대학이 본 사업에 참여
(총 255개 대학 참여)해야 하며, 사업 참여 대학의 학생 중 원거리로 통학이 어려운 기초·차상위 대학생은
학기 중(계절학기 수강 시 방학 중에도 지원 가능) 월 최대 20만 원까지 주거안정장학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원거리 진학 여부는 대학이 위치한 소재지와 부모님의 주소지가 서로 다른 교통권에 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수도권 소재 대학에 다니는데 부모님의 주소지는 수도권이 아닌 경우 원거리 진학으로 인정되어
주거안정장학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안정장학금과 국가장학금은 재단 누리집(https://www.kosaf.go.kr)과
'한국장학재단' 이동통신 앱을 통해 신청기간 동안 24시간 신청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자세한 상담이 필요한 경우,
전화상담(1599-2000)을 받거나 각 지역의 재단 센터에 방문하여 일대일 맞춤형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학 원거리 진학 인정 기준 >
학생이 다니는 대학 소재지와 부모의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서로 다른 교통권일 경우 원거리 인정
※ 교통권은 교통 여건을 고려하여 대도시 권역, 시지역, 군지역으로 구분
- 대도시 권역 : 대학 소재지가 속한 특별시·광역시 기준, 권역별로 범위 설정
구분 | 범위 |
【수도권】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 단, 인천광역시 행정구역 중 옹진군 전체, 강화군 교동면, 삼산면 및 서도면은 제외) |
【부산‧울산권】 |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주시 및 경상남도 양산시‧김해시‧창원시‧거제시‧밀양시 |
【대구권】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구미시‧경산시‧영천시‧청도군‧고령군‧성주군‧칠곡군‧의성군‧청송군 및 경상남도 창녕군 |
【광주권】 |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나주시‧담양군‧화순군‧함평군‧장성군 |
【대전권】 |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공주시‧논산시‧계룡시‧금산군 및 충청북도 청주시‧보은군‧옥천군 |
2. 시지역 : 대학 소재지가 속한 시 기준, 인접한 시까지 동일 교통권으로 인정
※ '인접한 시'는 시의 경계를 맞닿고 있는 경우를 의미함.
3. 군지역 : 대학 소재지가 속한 군 기준, 해당 군지역 범위까지 인정
- 단, 원거리 인정 기준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사실상 통학이 불가능한 사유가 있는 경우(교량 또는 터널 등이 미설치되어 차량 통행이 불가한 도서지역에 부모 거주 등) 대학, 재단의 확인 절차를 거쳐 주거안정장학금 지급 가능
'교육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초등학생 사망 사건' 관련 교육부 대응방향 발표 (0) | 2025.02.19 |
---|---|
2025년 교육부 정책 소개(1부)_"출발선 평등"으로 만드는 공정한 교육 (0) | 2025.02.18 |
2025년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실시 (0) | 2025.02.18 |
학교복합시설 대상 공모(생존수영 수업 가능한 수영장 사업 우선 선정) (0) | 2025.02.16 |
고교학점제, 미리 경험하고 상담받자 (교육부, '진로·학업 설계 지원 서비스' 개설)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