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정책

2026년 국립대 임대형 민자사업(BTL) 기숙사 신축-학생 사생활 보호 및 주거비 경감을 위한

교육의 모든 것 2025. 2. 27. 19:02

교육부는 학생들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주거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2026년 국립대 임대형 민자사업(BTL) 기숙사 신축을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 학생 사생활 보장 위해 모든 실을 개인침실로 구성하고, 학습공간·편의점 등 편의시설 확대

 

★ 2026년 희망하는 대학 대상으로 현장조사 및 적격·타당성 검토 후 5월에 최종 확정

 

 

국립대 임대형 민자사업(Build - Trans - Lease) 기숙사 사업이란
민간자본을 활용해
대학 기숙사를 신축 · 리모델링 하는 사업

 

2005년 시작되어 현재까지 총 76개의 기숙사가 운영 중이며, 

17개 사업이 추가로 고시 또는 공사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2026년 사업은 임대형 민자사업 방식의 기숙사 신축 · 리모델링을 희망하는

10개 대학을 대상으로 현장조사와 적격 · 타당성 검토를 실시한 후, 

'시설사업 및 안전심의위원회' 심의를 통해 오는 5월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특히, 2026년부터는 기숙사 규모를 결정하는 학생 1인당 기준 면적을 

기존 18㎡에서 22㎡로 대폭 확대하여 

①학생들의 사생활이 보장되도록 모든 실을 개인침실로 구성하고, 생활관에

학습공간, 세탁실, 편의점, 택배보관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제공하여

거주환경이 크게 개선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출처. 교육부 보도자료

 

교육부에서는 

"이번 사업은 단순한 기숙사 공급 확대를 넘어, 학생들에게 사생활 보호와 편의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예정이다."라고 말하며,

"이를 통해 더 많은 학생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주거비 부담 없이

학업에 집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습니다.  


 

대학교의 기숙사가 이런 좋은 정책을 통해 쾌적하게 바뀐다면 무척 좋을 듯 합니다. 

저 또한 대학 시절에 4명이서 한 방을 같이 쓰는 기숙사에서 살아본 적이 있는데요.

그 때야 지금과는 시절이 다르니 오손도손(?) 함께 잘 살고 그랬지만

요즘 같은 시대에서 고등학교 기숙사도 1인 1실인 만큼 

대학교의 기숙사들도 공동침실에서 개인침실로 바뀌는 것은 당연한 일인 것 같습니다.

이런 정책이 적절한 대학에 잘 적용되어 원거리 주거자인 학생들에게 

좋은 주거 환경이 제공된다면 부모님들의 걱정도 덜고 학생들도 쾌적한 환경에서 

학업에 집중할 수 있을 것 같네요.